본문 바로가기

금융 경제 지표·용어

[PMI_구매관리자지수] ISM vs. Markit

 

 

 

주요 경제 지표 가운데, 흔히 PMI 라 불리는 구매관리자지수(Purchasing Managers' Index)가 있다. 경기의 확장 또는 수축 정도를 알아보기위해 기업 구매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을 수치화한 것으로, 제조업 PMI 와 서비스(비제조)업 PMI 등이 있다. PMI 는 대략 아래의 공식으로 산출되기에, 0 ~ 100의 값을 나타내며 50을 기준으로 그를 상회하면 제조업(또는 비제조업)경기의 확장, 하회하면 수축을 의미한다. 

 

PMI = (P1 * 1) + (P2 * 0.5) + (P3 * 0)

 

P1 = percentage of answers reporting an improvement  

P2 = percentage of answers reporting no change 

P3 = percentage of answers reporting a deterioration 

 

주요 설문 항목으로는 제조업의 경우, 신규주문, 생산, 고용, 재고, 배송 속도 등이 있으며, 서비스업의 경우, 기업활동, 고용, 가격, 신규수주 등이 있다. 이 설문은 의견이나 전망을 묻는 것이 아니라, 실제 전월 대비 당월의 개선유무를 묻는다. 그럼에도 매크로 경제활동을 구성하는 개별 기업 담당자의 설문을 바탕으로 작성되기에 기본적으로 선행지표의 성격을 띠고 있다. 대표적인 산출 기관으로는 미국 기준, ISM(공급관리자협회, 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 와 IHS Markit 이 있다. 둘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고 한다.

 

 

출처 : 안기태, ISM과 Markit이 엇갈리는 배경, NH투자증권

 

 실제 매크로 활동에 대한 설명력 측면에서 Markit 의 발표 지수가 더 우월하다고 한다. 그러나 ISM PMI 가 좀 더 공식적인 지표로 받아들여진다.